TV/EBS, 위대한 수업

리처드 도킨스 - 당신이 몰랐던 진화론, 1강 생명은 왜 복잡한가

셩잇님 2023. 5. 26. 06:05
반응형

1강, 생명은 왜 복잡한가

 

Q. 진화생물학의 길을 걷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A. 진화생물학의 어떻게 관심이 없을 수 있을까요. 이는 우리가 존재하는 이유입니다. 진화는 마치 누군가가 설계한 것처럼 보이는 복잡하고 아름다운 생명의 특성을 보여줍니다. 모든 나무, 모든 민달팽이, 벌레, 인간, 침팬지, 사자, 토끼리 등 전부다 자연선택의 의한 진화라는 다윈의 위대한 이론으로 설명됩니다.

 

 저의 아버지는 옥스퍼드에서 식물학을 전공하신 자연 연구가셨습니다. 야생화 이름을 다 알고 있으셨고, 저와 여동생에게도 가르쳐주셨습니다. 자연스럽게 생물학을 접할 수 있는 환경에서 자랐습니다. 하지만 저는 자연 탐구에는 관심이 없었고, 오히려 철학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우리는 왜 존재하는가?, 삶은 무엇인가?, 인생의 목적은 무엇인가?'라는 심오한 질문에 더 관심을 두었으며 그로 인해 생물학에 빠져들게 되었습니다. 생명체는 왜 이토록 이렇게 복잡한 걸까요? 생명이 복잡한 이유는 살아남기 위해서입니다. 모든 생명체의 목적은 오래 살아남아 그들의 유전자를 다음 세대애 전달하는 것입니다. 심지어 가장 단순한 생물인 세균조차도 그 속을 들여다보면 매우 복잡합니다.

 

 하지만 우리 인간이나, 코끼리, 참나무 같은 다세포 생물이 훨씬 더 복잡합니다. 다세포 생물이 복잡한 까닭은 수백 만 년의 진화를 거쳐 온 최종 산물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이를 '진화적 군비경쟁'이라고 부릅니다. 인간 사회에서 강대국 간의 군비 경쟁과 비슷합니다. 군비 경쟁은 포식자와 피식자, 기생충과 숙주 사이에서 벌어집니다. 포식자가 경쟁에서 유리한 위치에 서면, 먹잇감은 포식자를 피해야 살아남습니다. 반대로 먹잇감이 우위에 있다면 포식자는 먹잇감을 이겨야 사냥에 성공합니다. 이러한 군비경쟁 때문에 동물은 매우 복잡해집니다.

 

 또한 같은 종에 속하는 개체 간 경쟁도 마찬가지입니다. 예를 들면 짝짓기를 두고 하는 동성끼리의 경쟁 또한 있습니다. 이처럼 군비 경쟁이나 동족 간의 경쟁 때문의 동물은 점점 복잡하게 진화합니다. 복잡성은 생물과 무생물을 구분하는 특징입니다. 만약 우리가 다른 행성에 가게 된다면 생명체를 인식하는 기준은 아마 복잡성이 될 것입니다. 무생물과 물리학의 세계는 복잡하지 않습니다. 반면 생물학 이야말로 복잡성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즉. 생명체가 복잡한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존을 위한 끊임없는 경쟁

2. 짝짓기를 위한 동족 간의 경쟁

 


 

Q. 복잡하게 진화한 동물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A. 두족류*는 고도로 진화한 연체동물입니다. 두족류의 특성 중 하나는 피부색이 변하는 것입니다. 피부색을 카멜레온처럼 천천히 바꾸는 것이 아니라, 매우 빠르게 바꿉니다. 피부색이 빠르게 바뀌기 때문에 오징어나 문어, 갑오징어의 피부는 마치 텔레비전 화면과 같습니다. 실제 텔레비전의 화면을 보면 수백만 개의 작은 픽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픽셀들은 3가지 색 중 하나를 띕니다. 오징어의 피부도 마찬가지입니다. 단, 오징어는 빨강, 노랑, 갈색을 띠고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특성들은 정말 비슷합니다. 이론적으로 우리가 오징어의 뇌를 잘 조작해서 컴퓨터에 연결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물론 시도한 사람도 없기 때문에 아직 가능한 일인지 알 수 없지만 우리는 오징어 피부를 통해 영화를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영화와 사뭇 다르지 않습니다. 

* 두족류 동물 = 연체동물 가운데 다리가 머리에 달린 동물 (오징어, 갑오징어, 낙지, 문어)

 

 여러분이 오징어의 피부색이 바뀌는 것을 본다면 구름이 움직이는 모습을 떠오를 것입니다. 구름이 빠르게 흘러가듯이, 두족류는 눈 깜짝할 사이에 피부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제가 쓴 책 ≪신, 만들어진 위험≫에서는 멋진 수컷 오징어 사진이 있습니다. 이 수컷 오징어는 암컷에게 구애 중입니다. 암컷에게 잘 보이기 위해 몸을 하얗게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이 수컷은 포식자에게 노출되지 않기 위해 어두운 갈색을 띨 필요성도 있습니다. 그래서 몸의 반쪽은 흰색, 나머지 반쪽은 갈색을 만들었습니다. 상황이나 목적에 따라 피부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두족류는 피부색을 바꿀 수 있습니다. 이는 오징어와 문어 같은 두족류의 매력 중 하나입니다. 동물에게 색은 중요한 요소입니다. 동물의 색은 위장하거나 포식자로부터 들키지 않기 위해 혹은 남들에게 경고를 보낼 때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독을 지니고 있거나 말벌처럼 독침을 가지고 있는 동물은 대부분 경계색을 띄게 됩니다. 말벌이 노랗고 검은 줄무늬를 띄는 이유는 바로 포식자에게 경고하기 위해서입니다. 말벌이나 다른 위험한 동물을 흉내 내는 동물도 있습니다. 바로 꽃등에입니다. 꽃등에의 노랗고 검은 줄무늬는 마치 말벌과 같습니다. 실제로는 위험하지는 않지만 위험한 척하며 포식자를 속이는 것입니다.

 

 때론 색은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쓰입니다. 동성 경쟁자에게 자신을 과시하기 위해서도 쓰입니다. 이런 이유들로 동물은 각자 자신만의 색을 가집니다. 그중 두족류가 특별한 것은 피부색을 순식간에 바꾼다는 것입니다. 자연선택설을 보여주는 예가 또 있습니다. 카멜레온은 곤충을 잡기 위해 마치 작살을 쏘듯이 혀를 쏩니다. 혀의 길이가 거의 카멜레온의 몸통만 합니다. 혀는 크고 깁니다. 또 작살처럼 날아가는 데에 속도가 아주 빠릅니다. 일단 카멜레온은 눈을 360도로 빙글빙글 돌리다가 파리나 곤충을 포착하면 마치 탄도 미사일처럼 혀를 발사합니다. 카멜레온의 혀는 입안에 작살처럼 말려져 있습니다. 그러다가 발사된 혀가 곤충에 딱 붙으면 카멜레온을 이를 자기 쪽으로 끌고 와 잡아먹습니다. 

 


 

Q. 생명의 기원과 다양성을 밝힌 '진화론', 다윈이 처음 주장했나요?

 사실 진화론을 최초로 생각해 낸 사람은 다윈이 아닙니다. 다윈 이전에도 있었습니다. 심지어 다윈의 할아버지 '이래즈머즈 다윈'도 진화론을 제안했지만, 최초는 아니었습니다. 자연선택설도 다윈 혼자만의 생각은 아니었습니다. 생물학자인 '엘프레도 월리스'도 자연선택설을 생각했습니다. 흥미롭게도 두 사람은 똑같은 책에서 아이디어를 얻었습니다. '토마스 맬서스'의 인구론입니다. 이 책은 인구 과잉으로 인한 경쟁이 진화를 유발한다.라는 아이디어를 제공했습니다. 월리스와 다윈은 독자적으로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론을 생각해 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각자 연구한 내용을 논문으로 썼고, 런던의 린네 협회에 '자연선택의 의한 진화론'을 발표했습니다. 이론의 우선권도 동일하게 가졌습니다. 하지만 아무도 관심이 없었습니다. 당시에는 자연선택설을 주목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무시당했습니다. 1년 후 다윈은 종의 기원이라는 책을 발간했습니다. 논문보다 훨씬 많은 자료가 실렸습니다. 다윈은 대중들이 진화론을 진지하게 받아들이길 원했습니다. 그러려면 책 한 권은 돼야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수많은 진화의 증거들이 나오고 나서야 사람들은 다윈의 진화론을 받아들이기 시작했습니다. 

 

 종의 기원은 출판 즉시 베스트셀러가 되었으며, 전 세계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게 되었습니다. 

 

Q. 리처드 도킨스에게 다윈은 어떤 존재인가요?

A. 다윈은 저에게 대단한 영웅입니다. 철학자 대니얼 데닛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만약 인류가 고안해 낸 가장 훌륭한 생각에 상을 주어야 한다면 자신은 뉴턴이나, 아인슈타인이 아닌 다윈에게 상을 줄 것이다." 진화론은 단순한 이론입니다. 진화론이 나오기 200년 전, 뉴턴이 성립한 미적분학에 비하면 다윈의 이론은 애들 장난같이 보일 정도입니다. 그런데 19세기 중반까지 이 경이로울 정도로 단순한 개념을 생각해 낸 사람은 아무도 없었습니다.

 

 왜 이렇게 오래 걸렸는가에 대한 다양한 추측들이 있습니다. 그 이유 중 하나로는 사람들이 생명체의 복잡성을 단순한 이론으로 설명하는 것은 어렵다고 지레 겁먹었기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인간의 눈처럼 신체 구조는 엄청나게 복잡하기 때문에 생명의 경이로움을 설명하는 것은 어림없다고 생각했으며, 이는 오직 신만이 가능한 일이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다윈의 입장에선 큰 용기가 필요했습니다. 생명의 복잡성을 단순한 이론으로 증명해 낸 지적인 용기입니다. 다윈의 진화론은 놀라울 정도로 강력한 이론입니다. 단순한 이론이 생명의 모든 것을 설명할 수 있으므로 믿기 힘들 정도입니다. 하지만 이론 그 자체로만 놓고 보면 지극히 단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