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의 두통을 유발하는 7가지
> 링크한 아티클은 제목만 참고하고 저의 의견을 덧붙였습니다.
1. 기술을 조금 알고 있어서 문제인 상사
아예 모르면 거의 간섭을 하지않지만, 조금알면 자기가 아는 것과 다르다고 훼방을 놓는 사람을 말합니다.
2. 코드 작성 다했는데, 요구사항이 변경되는 경우
이런 경우는 다들 있으실겁니다. 애자일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사실 빈번합니다.
3. 태스크 시간 예측하기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는 시간을 예측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주니어건 시니어건 상관없이 말이죠.
4. 클라이언트에게 데모 보여주기
잘 동작하던 것들이 꼭 데모만 하면 크래시가 나는 경우가 여럿있습니다.
5. 문서작성
업무가 매우 많은 상황에서 코드 작성을 다하고 조금 쉬고 다음일을 해야하는데 추가적으로 문서도 작성해야하는 경우, 문서 보다는 다음 코드 작업을 진행하고 싶은 마음이 큽니다. 결국엔 문서를 원하는 만큼의 퀄리티로 만들지 못하거나 모든 작업이 다 끝나고 나서 약간 숨을 돌릴 수 있는 시기에 작성합니다. 이 조차도 계속해서 일이 많다면 녹록지 않을것입니다.
6. 몇 년이상 묵은 코드 수정하기
말이 좋아 레거시지 몇 년 동안 묵은(방치된) 코드는 매우 수정하기 어렵습니다. 올바르게 동작하도록 수정하는 것은 더욱 어렵겠죠. 그냥 새로 만드는게 더 나을 수도 있지만, 이또한 요구사항을 모두 파악해야하므로 쉬운일은 아닙니다.
7. 재현하기 힘든 버그들
대부분의 경우에는 잘 되는데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버그는 재현이 힘들어서 매우 잡기가 까다롭습니다. 특정 버전의 조합으로 인해 그런경우도 있고, 클라이언트의 버전이 낮아서 인경우도 있고, 게이트웨이를 거치면서 응답값이 바뀌어서 그런 케이스도 있습니다. 매우 재현하기 힘들기 때문에 너무 힘들죠.
글을 적으면서 보니 프로그래머로 사는게 녹록치 않은것 같습니다.
이런 저런 힘듦과 장애물과 벽을 넘어서 잘 성장하는 저와 여러분 되길 바랍니다. 🙂
출처 : 커리어리 '박승규'님
https://careerly.co.kr/comments/66683?utm_campaign=user-share
'공부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기 개발에 도움되는 개발 도서 효율적으로 읽는 법 (0) | 2022.12.29 |
---|---|
<🤓 코딩 테스트에 완벽하게 대비하기 위해 해야 할 6가지> (0) | 2022.12.26 |
✅ '어떻게든 일을 해내는' 개발자가 되는 법 (0) | 2022.12.26 |
<👩🏻💻 개발자 면접 유형 총정리> (1) | 2022.12.23 |
<개발자는 보통 말이 안통한다?> (0) | 2022.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