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기타

온라인 게임에서 유저들을 관리하기 위해 효율적인 정렬 알고리즘과 그 이유는?

셩잇님 2022. 12. 26. 22:12
반응형

 

 

2021년 11월에는 삽입 정렬이 가장 좋다고 생각했다.

 왜냐하면 예를 들어 설명해보겠다. 유저들은 사이트 혹은 게임에에 회원 가입을 할 때 오프라인 은행처럼 번호표를 뽑아 정해진 순서에 따라 가입하는 것이 아니다. 각자 스마트폰 혹은 피시를 이용해 사이트 혹은 게임에 접속하여 가입하는데, 이 때 사이트던, 게임이던 회원 가입한 사용자들에게 사용자번호를 부여하여 관리하면 1번부터 차례대로 사용자 수에 따라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기 때문이다. 혹여나 만약 N번째 유저가 탈퇴를 한다고 해도 그 사용자 번호를 부여한 자리에 지금 막 가입한 사람을 다시 집어넣기만 하면 문제도 없다.

 

 

 


 

 

 

그렇지만 22년 12월 현재 글을 작성하는 기준으로는 가장 좋은건 해시테이블과 DBMS이지 않을까 싶다. 위에 서술한 예시와 같이 게임에서 사용자 등록 및 탈퇴를 관리해야 할 때 고려해야 할 것은 효율성과 확장성이라고 생각한다. 만약 신규 오픈이라면 많은 수의 사용자를 동시 다발적으로 등록을 진행해야 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 때 삽입 혹은 삭제를 진행하며 병목 현상이나 기타 성능 문제를 일으키지 않아야하기 때문이다.

 

그로 인해 생각한 효율적인 알고리즘 중 하나는 해시 테이블이다. 해시 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빠르게 저장하고 검색할 수 있는 데이터 구조이다. 이는 많은 수의 항목을 관리하고 빈번한 삽입 및 삭제를 수행해야 하는 매우 적합하다.

온라인 게임에서 사용자 등록 및 탈퇴를 관리하기 위해 해시 테이블을 사용하려면 각 사용자의 계정 정보를 해시 테이블의 별도 항목에 저장해야한다. 그 다음 사용자의 계정 식별자(예: 사용자 이름 또는 이메일 주소)를 해시 테이블의 키로 사용해 해시 함수를 이용하여 테이블에서 사용자 정보를 원하는 위치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 등록 및 탈퇴 작업을 일정한 시간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작업을 관리할 때 아마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이지 않을까 싶다.

또 다른 옵션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BMS)이다. DBMS는 대량의 데이터를 관리하고 해당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인 액세스를 제공하도록 설계된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이다. DBMS를 사용하여 사용자 계정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고 SQL 쿼리란 특수한 작업을 통해 사용자 등록 및 탈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사용자 수가 많고 더 복잡한 데이터 구조와 쿼리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 더 효율적이다.

물론 해시와 DMBS 말고도 가장 좋은 알고리즘은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요구 사항과 작업 중인 데이터 특성에 따라 달라진다. 각 알고리즘 간의 장단점을 생각하고 필요에 따라 가장 적합한 알고리즘을 선택하는 것이 가장 좋지 않을까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