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정보처리기사

2020년 정보처리기사 실기 정리 #1

셩잇님 2022. 11. 7. 13:58
반응형

현행 시스템 파악(구기인·아소·하네)

시스템이 어떤 하위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공 기능 및 연계 정보는 무엇인지 파악하는 활동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SW 구성요소와 그 구성요소가 가진 특성 중 외부에 드러나는 특성, 그리고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시스템의 구조나 구조체를 의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4+1뷰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리해 놓은 시나리오를 4개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소프트웨어적인 접근 방법
구성요소 : 유스케이스, 논리, 구현, 프로세스, 배포 뷰 (유논프구배)

 

OSI 7계층

네트워크 통신에서 생긴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 국제표준기구(ISO)에서 제시한 네트워크 기본 모델
아파서 티내다, 피나다(7654321) / 데새패프비(31111)

 

미들웨어

분산 컴퓨팅 환경에서 응용 프로그램과 프로그램이 운영되는 환경 간에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해주는 소프트웨어. 대표적인 미들웨어로는 WAS가 있다.

 

웹 어플리케이션 서버(WAS)

서버게층에서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트랜잭션 처리와 관리, 이 기종 시스템과의 연동을 지원하는 서버이다.

 

CPU 용량 산정 – OTLP/배치/DB 서버

tpmC가 나오면 OTLP/배치/DB서버이다. tmpC는 1분간 최대 처리 건수를 나타낸 수치이다.

 

CPU 용량 산정 – WEB/WAS 서버

3-계층 아키텍처, OPS로 구성되어 있을 시 WEB/WAS 서버이다. OPS는 초당 처리되는 연산이다.
순서 CPU, 메모리, 디스크 순


요구사항
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 서비스에 대한 요구사항(기완일)
비기능적 요구사항 :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 이외의 사항(신사효유이)

 

요구사항 개발 프로세스

도출, 분석, 명세, 확인(도분명확)

 

요구사항 관리 프로세스

요구사항 협상, 요구사항 기준선, 요구사항 변경 관리, 요구사항 확인 및 검증(협기변확)

 

요구사항 분석

요구사항 분류, 개념 모델링, 요구사항 할당, 요구사항 협상, 정형 분석(분개할 협정)
요구사항 협상 : 서로 상충하는 내용을 요구하는 경우 적절한 지점에서 합의하기 위한 기법

 

요구사항 확인

요구사항 검토, 프로토타이핑, 모델 검증, 인수 테스트(요프모인)
프로토타이핑 : 사용자가 요구한 주요 기능을 프로토타입으로 구현해 피드백을 통해 개선, 보완하는 기법

 

요구사항 확인 프로세스

요구사항 목록 확인, 요구사항 정의서 작성 여부 확인, 비기능적 요구사항 확인, 타 시스템 연계 및 인터페이스 요구사항 확인(목정비타)

 

요구사항 기술적 타당성 검토

성능 및 용량 산정의 적정성,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기술적 위험 분석(성상아기)
상호 운용성 : 다른 목적을 지닌 시스템들이 상호 간 서비스를 교환하면서 효과적으로 운용될 수 있는 시스템 능력

 

비용산정 모델

하향식 : 전문가에게 비용산정을 의뢰하거나 전문가와 조정자를 통해 산정하는 방식(전문가 판단, 델파이)
상향식 : 요구사항과 기능에 따라 필요한 비용을 계산하는 방식(LoC, Man Month, COCOMO, 푸트남, FP)

 

분석 모델 검증

요구사항 도출 기법을 활용하여 분석가가 제시한 분석 모델에 대해 확인하는 활동

 

분석 모델 검증 방법

유스케이스 모델 검증 : 시스템 기능에 대한 유스케이스 모형 상세화 수준 및 적정성 검증을 위해서 액터, 유스케이스, 유스케이스 명세서 점검
개념 수준의 분석 클래스 검증 : 시스템의 주요 도메인 개념을 분석 클래스로 도출하여 유스케이스 분석에 활용하므로, 개념 수준의 주요 분석 클래스를 적절히 도출하였는지, 관련 정보가 명확한지 점검
분석 클래스 검증 : 유스케이스 실현에 필요한 분석 클래스 도출 확인, 클래스 간의 관계, 정보의 상세화 정도 확인

 

분석 모델 검증 프로세스 (컬작정, ≠ 무작정)

  1. 검토의견 컬럼 추가 : 분석 모델까지 요구사항 추적표를 작성하고 검토의견 컬럼 추가
  2. 검토의견 작성 : 유스케이스, 분석 클래스 모델에 대한 검토의견 작성
  3. 검토의견 정제 : 요구사항 추적표에서 요구사항에 대한 검토의견 정제
    분석 모델의 기술적 타당성 검토
  4. 성능 및 용량 산정의 적정성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한 분석 모델에 따라 시스템을 구현할 때 요구되는 시스템의 자원 식별
  5. 시스템 간 상호 운용성
    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간 상호 정보 및 서비스 교환 가능 검토
  6. IT 시장 성숙도 및 트렌드 부합성
    분석 모델이 과거의 문제를 해결하고 최근 많이 사용되는 트렌드에 부합하는지 확인
  7. 기술적 위험 분석
    분석 모델을 구현하기 위해 특정 업체 기술, 특허, 라이선스에 의존해야 하는지 확인

 

분석 모델의 시스템화 타당성 분석 프로세스(컬작검확)

  1. 타당성 검토의견 컬럼 추가
    분석 모델까지 요구사항 추적표를 작성하고, 해당 컬럼을 추가
  2. 타당성 검토의견 작성
    작성된 추적표에 타당성 검토의견 작성, 검토의견을 제외한 나머지 속성들은 분석 모델 검증 수행 내용의 작성 절차와 동일
  3. 타당성 분석 결과 검증
    타당성 분석 결과를 관련 이해관계자에게 배포하여 사전 검토를 요청
  4. 타당성 분석 결과 확인 및 배포/공유
    이해관계자 검증을 거친 타당성 분석 결과를 의사 결정자가 확인
반응형